심장병에 좋은 음식은 무엇일까?
우리의 건강을 지켜주는 중요한 심장!!
심장이 없으면 살아갈 수 없는 중요한 심장
그러나 겨울에는 특히 심장건강에 신경을 써야 하는데 심장질환의 위험을 현저히 낮추는 음식들이 있다고 해서 화제가 되고 있는데요.
겨울철 건강에 있어 심장건강은 매우 중요합니다.
심장병에 좋은 음식은 어떤것들이 있을까요?
심장병에좋은 음식은 이런것들입니다. |
심장병은 발병을 하면 무서운 것이지만 관심을 가지고 있다면 다음과 같은 음식을 평상시에 많이 드시고 심장병 예방을 하시면 좋겠습니다.
1. 오트밀
오트밀은 수용성 식이섬유가 많이 함유되어 있어 나쁜콜레스트롤(LDL)이 확실히 줄어든다고 합니다.
수용성식이 섬유가 많은 음식은 이외에도 많아요.^^
2. 연어
연어는 오메가3 지방산이 많이 있어 심장을 보호 한다고 하죠
연어는 대개 뷔페에서 많이 볼수 있는데 많이 드시면 좋겠네요
3. 견과류
호두, 아몬드, 땅콩 등에는 불포화지방산이 많아서 심장보호에 좋아요
4. 콩류
콩류를 일주일에 적어도 4차례 먹는 사람은 한번도 먹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22% 발병율이 낮다고 합니다.
5. 브로콜리
케일이나 시금치와 마찬가지로 항염증 효과와 해독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하니 겨울에 데쳐서 또는 무쳐서 많이 드세요
6. 붉은 팥이나 콩
예로부터 한방에서는 붉은 팥이나 콩은 인체의 기관중 붉은색을 띠는 장기에 효험이 있다고 알려져 있답니다.
심장질환을 예방할려면 어떻게 하는것이 좋을까요? |
미국 및 한국심장학회는 심장병 예방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예방법을 제시하고 있는데요.
유전, 고혈압, 심장병, 당뇨병, 고지혈증, 비만, 통풍, 흡연, 스트레스, 운동부족, 잘못된 식습관을 바로 잡을 수 있도록 하라고 권장하고 있습니다.
혈중콜레스테롤의 저하 및 적절칼로리의 섭취, 적당한 운동 그리고 당뇨병의 치료등 가장 일반적인 지침을 밝히고 있습니다.
보통사람들은 이렇게 말씀을 드려도 일상생활에서 잘 지켜지지 않는 것이 현실인데 각박한 현실에서 모두 잊고 살아가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심장질환에는 효소식품이 좋아요!! |
그러나 심장병에 좋은식품을 먹는다고 하여도 우리몸에 필요한 효소가 부족하다면 이를 적절히 분배하여 공급하는 기능이 현저히 떨어져 제기능을 못하는것은 당연하다 할것입니다.
따라서 우리가 일생을 살면서 효소는 꼭 필요한 것인데 음식물이 우리몸에 들어가서 소화되고 영양분을 흡수하여 인체의 각 기관에 보내어 질까지 효소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것이지요.
오가피박사는 효소식품중에서도 오가피발효액과 현미효소를 꼽는데요.
이유는 오가피는 혈액정화기능과 혈액순환기능이 탁월하게 좋고 심장에도 영향을 미쳐 건강을 유지하는데는 이상적인것으로 해발 800미터의 산에서 야생으로 자란 토종오가피의 순만을 발효시켜 만든 오가피발효액이 효과가 좋은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또한 현미는 이미 알려졌듯이 현미 자체로만도 당뇨병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미를 발효가공하여 식품으로 만들어 공급을 하고 있는데요.
인체에서 부족한 효소를 외부에서 공급함으로써 심장병 관리에도 효과를 볼 수 있을것으로 생각합니다.
효소는 기본적으로 혈관에 쌓인 노폐물을 제거하고 나쁜 콜레스트롤을 낮춰주며 지방의 조절에도 관여하는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현미효소는 하루에 3끼를 식사로 섭취하였을때 가장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우리의 식사와도 같은 습관을 가지면 효과를 많이 본다는 말씀이죠..^^
오가피박사는 진정 많은 분들이 건강한 장수를 누리기를 바라는 마음인데 이것은 제가 거의 사지에서 살아온 경험이 있기에 이렇게 말씀을 드립니다.
건강은 건강할때 지켜야 한다는 평범한 진리를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오늘은 오가피박사가 심장병에 좋은 음식에 관해 한말씀 올려드렸습니다.
오가피박사 올림
'건강하게 살기위하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검증된 4대 항암약초 (0) | 2013.03.21 |
---|---|
심장에 좋은 음식 8가지 (0) | 2012.11.28 |
관절에 좋은 약초 (퇴행성 관절염, 연골) (0) | 2012.10.27 |
[스크랩] 만병을 치유한다. 오일플링(펌) (0) | 2012.09.06 |
[스크랩] 오일플링 (0) | 2012.09.06 |